당구시스템/무회전 System

무회전 제각돌리기

빅볼천사 2016. 11. 18. 03:33

   

무회전 제각돌리기 시스템을 소개시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각돌리기 뿐만 아니라 빈쿠션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만 제각돌리기에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수구수와 3쿠션수가 동일합니다. 1쿠션도 포인트당 10으로 간단합니다.

외우지 않아도 쉽게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계산법은(수구수 - 3쿠션수)÷ 2 = 1쿠션수 입니다.

위 그림을 계산해 보면 수구수 30, 3쿠션수 10, 그러면 (30-10)/2 = 10....

10을 향해 가볍고 부드럽게 보내주시면 됩니다. 1적구를 때린다는 느낌을 치시면 결코 안됩니다.

수구와 1적구를 분리만 시킨다는 생각으로 큐를 부드럽게 밀어줍니다.

 

 

 

계산해보면 수구수 26, 3쿠션 8, (26-8)/2 = 9 ..그러므로 9를 향해서 무회전으로 치시면 됩니다. 수구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두번의 시행착오를 거치셔야 합니다. 수구가 테이블에 붙어있으면 수구수를 결정하기

쉬우나 떨어져 있다면 한두번은 계산해서 1적구접하는 선을 찾아야 합니다. 제각돌리기를 구사할때 수구와

관계없이 1적구 접하는 선을 찾아야 함은 이전 시스템에서 많이 언급했었습니다.

그럼 아래 그림을 보시죠.


위 그림은 1적구를 맞고 진행하는 제각돌리기 입니다. 계산해보면 수구수 32, 3쿠션수 14, (32-14)/2=9....

그림을 보면 쉽게 나오지만 실제로 실전에서 접하게되면 수구수를 결정할 때 애를 먹을 수 있습니다.

1적구를 먼저맞추는 포지션에서는 1적구를 기준으로 수구수를 결정해야 한다는것은 다아시죠? 3쿠션수는

쉽게 나오니 대략적으로 1쿠션수를 잡습니다.그런후 계산해서 나온 1쿠션수와 수구수를 연결하여 1적구를

접하거나 지나는지 확인해 봅니다. 1적구를 접하여 지나가면 계산이 잘된것이고 1적구와 떨어져 있다면

다시 계산하셔야 합니다. 근사치를 잡는 것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겠죠.

위 그림은 수구가 1적구에 비하여 아래로 내려와 있을때의 경우입니다.

위 그림은 1적구를 맞추고 원하는 원쿠션 위치로 쉽게 보낼 수 있지만 수구가 조금만 아래로 내려와도 쉽지

않고 원하는 1쿠션으로 보냈다 하더라도 약간의 자연 역회전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당점을 보시면

약간의 회전을 준것입니다. 반팁정도... 계산해 보면 수구수 35, 3쿠션수 9, (35-9)/2 = 13...

위 그림을 계산을 좀더 쉽게 하기위하여 1쿠션수를 변형한 것입니다.

계산법은 수구수 - 3쿠션수 = 1쿠션수 입니다.

단지 1쿠션수를 2배로 늘려놨습니다. 나누기 과정을 빼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구수를 결정하기가 좀 수월해 질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제각돌리기에 유용한 시스템이니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