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할 시스템은 무회전 2뱅크 샷입니다.
김동수님의 원포인트 레슨에도 동영상 강좌로 있습니다. 매우 활용가치가 높습니다.
위에 숫자는 매우 간단합니다. 2쿠션째의 숫자가 0.5 단위 인것만 외우시면 됩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구수 x 2쿠션수 = 1쿠션수
주의 사항)
2쿠션 앞의 1목적구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가 공한개 들어갈 사이즈 일때 2쿠션의 수는 1적구 바로 앞의 숫자를 읽어 줍니다. 만약 1적구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가 공 2개정도 들어갈 사이즈라면 한포인트 앞의 숫자를 2쿠션수로 사용해야 합니다. 1적구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가 공3개정도 들어가면 두포인트 앞의 숫자를 읽어주면 됩니다.
공을 테이블에 붙여보고 과연 어느정도가 공한개, 공두개 들어가는 사이즈인지 한번은 확인해 보세요. 생각보다 좁습니다.
위 그림은 수구가 2, 1적구와 테이블사이 거리가 공한개 들어가므로 2쿠션수는 3, 그러므로 무회전으로 2 x 3 =6...6의 위치를 상단 무회전으로 부드럽게 굴려줍니다. 절대 세게 치지 말고 딱 맞을 정도로만 치세요..
위 그림에서 보면 1적구와 테이블 사이의 거리가 공 2개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2쿠션수는 2.5를 사용합니다. 2 x 2.5 = 5 입니다. ..5를 향해서 치면 되겠네요...
참고로 시스템 설명을 위해서 사용한 그림에서는 공의 크기가 좀 크게 그려졌습니다. 보기좋게 보이려고 약간 크게 그렸죠..
위 그림에서 보면 수구수는 3, 1적구와 테이블 사이에 공3개 정도 들어가니 두포인트 위의 2.5를 사용하면 되겠네요.. 3 x 2.5 = 7.5....7.5를 향해서 치면 됩니다. 7.5란 숫자가 약간 애매하긴 하지만....만약 7.5가 나오면 7쪽을 향해서 치는 것이 8에 가깝게 치는 것보다 유리 합니다. 수구와 1적구가 조금더 두껍게 맞더라도 들어가는데 문제 없습니다.
위 그림은 시드스스템을 이용한 것인데 공을 맞출때 꼭 1적구 뒷면을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위의 예제와 같이 1적구 앞을 맞고 3쿠션을 형성하는 공도 많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공이 배치되어 있다면 3쿠션 뱅크샷을 치는 것보다 2쿠션 뱅크샷(2가락)을 치는 것이 더 유리 할 수도 있습니다.
3쿠션 뱅크샷은 1적구와 수구의 맞는 두께가 한정적입니다. 하지만 2뱅크샷의 경우는 너무 얇게 맞거나 너무 두껍게만 안맞으면 왠만하면 들어갑니다. (한번 쳐 보세요...금방 무슨말인지 알것입니다.)
위 그림 계산해보면 수구수3, 2쿠션수 4.5 그러므로 3 x 4.5 = 13.5 .... 계산은 매우 간단합니다.
당부 드리고 싶은 말은 시스템에 너무 의존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시스템의 숫자에 의존하면 쿠션감각을 잃어 버립니다. 당구는 시스템보다 감각이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시스템은 어디까지나 보완적인 것이니 무작정 시스템을 외우는 것에 몰두 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시스템도 자신에게 맞추어 보정할 수 있어야 하고 감각을 잃지 않는 당구가 더 중요합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만...~~즐거운 당구를 치세요...
[출처] 시드시스템(무회전 시스템)- 단-장-단축 진행|작성자 강나루별
'당구시스템 > 무회전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 to 1 System (0) | 2012.03.16 |
---|---|
시드시스템(단축진행) (0) | 2012.03.16 |
[스크랩] 터키 시스템 (단 - 장 - 단 ) (0) | 2012.03.15 |
[스크랩] 베르니 시스템(단-장-단) (0) | 2012.03.15 |
No English System 2 (정확성) (0) | 201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