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껴치기 장장단 혹은 장장장으로 연결되는 스페인책에 소개된 시스템입니다.
1적구 맞추는 두께는 일반적 비껴치기 시스템에서 흔히 요구되는 두께로, 1적구가 수구 충돌후 장쿠션에 평행하게 진행될 정도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듯한 두께입니다.
당점(Ef)은 중상단 1팁 정도 당점입니다(그림 중앙의 당점그림 참조).
그러나 수구, 적구의 기울기와 수구와 1적구 충돌후 수구의 장축방향 이동폭에 따라 당점의 높이를 조정하는것이 확률이 높습니다. 즉 수구, 적구 기울기가 커서 많이 밀릴 때에는 중하단 당점을 사용하여 밀림폭을 줄이고, 장축 방향으로 큰폭의 수구 이동을 요구하는 배치에서는 상단당점을 사용하여 직진 관성력을 키워줍니다.
먼저 장장단의 경우 공식은 ((1적구수+2적구수)/2-수구수)/5=당점 입니다.
좀 복잡해 보이나 간단히 하면 (1,2 적구의 중간수-수구구)/5=당점 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수구수를 잘 기억해 놓기 바랍니다.
그림의 계산식에서 나누기 5가 빠져 있네요...ㅠㅠ
아래 그림은 장장장의 경우 입니다.
공식은 ((1적구수-2적구수)/2-수구수)/5=당점입니다.
공식에 대입하면
그림 왼쪽 : ((40-10)/2-25)/5 = (15-25)/5 = -2
그림 오른쪽 : ((20-10)/2-10)/5 = (5-10)/5 = -1
상대적으로 수구의 큰 이동폭(장축방향)을 요구하면 상단 당점을 사용하고, 수구의 과도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단 당점을 사용합니다. 만약 기울기가 커질 경우에는 하단 역회전 당점을 사용하여야 겠지요.
가만히 보면 빗겨치기라고는 하지만.... 횡단샷과 같은 원리입니다.
그런데 실전에서 하면 왜 안되지.... ^^
[출처]samchange
'당구시스템 > 빗겨치기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단장 빗겨치기시스템 (0) | 2016.02.28 |
---|---|
장장단(LLS) 시스템 - 리버스 엔드 응용 (0) | 2016.02.24 |
Japanese System (0) | 2016.02.12 |
[스크랩] 비껴치기 시스템 (0) | 2012.06.22 |
[스크랩] 터즐 (0) | 201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