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구시스템/무회전 System

[스크랩] 베르니 시스템 - 실전 활용

빅볼천사 2012. 6. 22. 17:30

 

이번에는 베르니시스템을 어떻게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위의 그림은 베르니 시스템의 전형적인 사용예는 아니다..

소위 짱꼴라라고 부르는 배치이므로 회전을 주고 조금 더 두껍게 쳐도 된다..

1적구를 맞추고 수구를 진행시킬때 어떻게 수구수를 잡는지 보여주기 위해서 그린것이다..

일단 3쿠션지점은 20 근처란 것은 알 수 있다.. 조금더 짧게 잡아도 상관없다..

 

수구수는 이미지볼의 연장선 상에서 수구수-1쿠션수 = 20 이 되는 수구-1쿠션 라인의 조합을 찾는것이다.

 

각에 대한 감이 전무하다면 모를까..약간에 감이 있다면 40-50 근처에서가 될 꺼란 짐작이 온다..

처음에는 큐대를 이용해 수구라인을 잡아도 된다.. 현 세계랭킹 1위인 브롬달도 그런 장면을 자주

보여준다..

40-20 라인은 적구를 맞출 수 없으므로 큐대를 평행하게 이동시키면서 찾아보면 50-30라인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무회전당점을 정확히 주고 밀지도, 끊지도 않는 평범한 스트록으로 공략하면 된다..

처음에는 수구수 찾는게 어렵지만 몇번만 해보면 시간이 많이 단축된다..

베르니 시스템은 위와 같은 평범한 배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어려운 배치(난구)에서 빛을 발한다..

밑의 그림을 보면서 나라면 어떻게 칠 것인지 고민해 보자..

 

 

수구는 흰공, 상당히 어려운 배치이다.. 빨간공을 2목적구로 해야겠다는 생각은 하겠지만.. 좀처럼

감을 잡을 수 없는 난구이다..

 

그럼 베르니 시스템을 적용한 밑의 그림을 보자..

 

 

당구대 종류나 상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3쿠션 지점이 50근처가 될 것이라는 감과 수구수만

정확히 찾는다면 감 잡기 어려웠던 난구가 시도해볼만한 공으로 바뀌는 것이다..

a선은 공이 무겁다거나 살짝 밀렸을 경우에 진행방향이다.. 따라서 밀리지 않도록 스트록에 신경을 써야한다.

b선은 너무 세게 쳐서 1쿠션에서 다소 꺽이거나.. 던져치기를 하여 약간 슬립이 됬을 경우의 라인이다..

모든 무회전(노잉글리쉬)시스템은 정확한 무회전 당점을 줄 수 있느냐.. 적절한 스트록을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c선은 3쿠션을 맞은 후에 수구의 진행속도가 공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눕는 경우이다..

국제식 중대나 대대에서 주로 사용하는 아스트로 큐션보다 반발력이 다소 낮은 보급형중대의 경우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당구대의 상태를 빨리 파악하고 적응하는 것도 중요한 당구 실력에 포함된다.

 

좀 극단적으로 수구인 흰공을 왼쪽 장축에 붙여 보았다.. 수구가 장축과 너무 가까이 붙어 있으면 제각돌리기로

빈쿠션 처리 하기가 어렵다..물론 접시를 칠수도 있지만 그것 또한 만만치 않다.. 이럴때 베르니 시스템으로

빈쿠션 처리가 가능하다..

출처 : 광신상고 28회 동창회
글쓴이 : Hyonam 원글보기
메모 :